-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Visual Features in Webtoon Thumbnails and Consumer Selection on the Korean Webtoon Platform: Computational Analysis of Thumbnail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유승희 김호림 최진욱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4호, 17~2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최근 한국의 웹툰은 원천 지식재산이자 한류 콘텐츠로서 급부상하며 산업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문적 관심도 높아졌으나, 소비자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해당 웹툰을 선택하게 되는지 실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좋아요나 댓글 등 웹툰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적 특성은 고려하였으나, 섬네일이라는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한편, 딥러닝에 기반한 컴퓨터 비전 기술을 통해 섬네일과 같은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그 특징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을 적용하여, 본 연구는 기존 웹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웹툰 섬네일의 시각적 특징을 추출하여 이러한 특징이 웹툰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해 소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각적 특징으로 명도, 채도, 색상 다양성, 시각적 복잡성을 제안하고, 1,953개의 웹툰을 대상으로 섬네일의 특징을 정량화하여 각 변수의 영향을 음이항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섬네일의 명도와 채도는 웹툰 소비자의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색상 다양성과 시각적 복잡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기존 웹툰 연구의 격차를 메우는 이론적 함의를 가지며, 정량적인 이미지 분석을 적용함으로써 웹툰 및 섬네일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툰 작가와 플랫폼 사업자에게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Korean webtoons have witnessed remarkable growth as valuable original intellectual property and Hallyu content, generating heightened academic interest. However, limited research exists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choices regarding webtoons. Previous studie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functional platform characteristics (e.g., comments and likes), while overlooking the significance of thumbnails. Advancements in deep learning-based computer vision technology have opened opportunities to extract and analyze visual features from computer graphics elements, including thumbnails. This study addresses the research gap by extracting visual features from webtoon thumbnails and investigating their impact on webtoon selection. Drawing from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identifies brightness, saturation, color diversity, and visual complexity as potential visual features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By quantifying the features of thumbnails in a sample of 1,953 webtoons, researchers employed negative binary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The results indicate that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thumbnails did not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ebtoon consumers' choices, whereas color diversity and visual complexity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The study advances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webtoon research by incorporating quantitative image analysis and fills the gap in the existing literature. Furthermore, it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webtoon writers and platform operators seeking to optimize their content to attract and engage consume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evolving methodology in webtoon and thumbnail studies and encourages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visual features influencing consumer selections in the rapidly expanding webtoon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