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Changes in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ppeared in the 2022 Nuclear Force Policy Act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Pakistan case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문지환 신진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4호, 361~3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1세기에 들어 핵전력 강화에 전념하는 북한의 핵전략을 내부적 법과 제도의 정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북한은 2012년 헌법 서문을 개정하여 ‘핵보유국’임을 천명하였고, 2013년 “자위적 핵보유국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데 대하여(소위 핵보유국법)”와 202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무력정책에 대하여(소위 핵무력정책법)을 통해 핵전략을 세부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2013년 대비 2022년의 법률은 상당부분 공세적, 권한위임형 핵전략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은 두 법률의 내용 변화를 리케의 전략 3요소(목표, 방법, 수단)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비슷한 핵전략의 변화를 보였던 파키스탄의 사례와 비교하여 함의를 도출한다. 결론적으로는 바틀렛의 모델을 바탕으로 북한 핵전략의 전략적 균형 달성 여부를 고찰해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which is dedicated to strengthening its nuclear power in the 21st century, through the case of domestic law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2012, North Korea revised the preamble in the Constitution to declare that it was a 'nuclear power', and in 2022, Pyongyang was developing its nuclear strategy in detail through the so-called the Nuclear Forces Policy Act. Compared to the past, the law in 2022 is characterized by an offensive, delegation-type nuclear strategy.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n the three elements of Arthur Lykke's strategy (ends, ways, and means), and draws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case of Pakistan, which showed similar changes in nuclear strategy. In conclusion, based on Bartlett's model, we examine whether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chieves strategic bal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분석
Ⅲ. 북한의 핵전략 및 핵 지휘통제체계
Ⅳ. 북한-파키스탄 핵전략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