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on Cohesion Shifts for the readability in Translation from Korean into Indonesian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최재미 조민성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4호, 257~28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가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되었을 때 나타난 결속구조 전환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번역과 결속구조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번역 과정에서 결속구조를 적절하게 해석하고 전달하는 것은 번역의 일관성과 의미 전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결속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원문과 번역문에서 100문장을 추출한 후 보그랑데와 드레슬러(Beaugrande & Dresseler, 2008)의 결속구조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결속구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번역문에서 대용형, 접속 표현, 회기법 및 부분 회기법, 환언, 생략법의 순서로 결속구조가 전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내용이 번역 교육의 예시로 활용하거나 번역자들의 실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ift in cohesion that occurs when Korean is translated into Indonesian. Translation and cohesion are closely interconnected. Proper interpretation and transmission of cohesive structure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are crucial for maintaining consistency and conveying meaning. To analyze cohesion, 100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both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text, and Beaugrande and Dressler's (2008) cohesion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e cohesion of Korean and Indonesian.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hesion shifted in the following order: pro-forms, junction, recurrence and partial recurrence, paraphrase and ellipsis in both Korean and Indonesian translations.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n example for translation education and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transla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연구방법
Ⅲ. 선행연구
Ⅳ.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