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Core Nursing Skill Education in the COVID-19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정성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5, 53~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온텍트 실습 교육이 전공만족도,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C도 소재일 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으로 2022년 2월25일부터 4월13일까지 관련 수업에 참여한 6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으로 분석하였으며, 플립러닝 교육 후의 변수의 변화는 paired t-test로, 각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플립러닝 기반 실습교육 참여 후전공만족도(t=.3.40, p<.001),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t=-13.93, p<.001), 임상수행능력(t=-7.99, p<.001)이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전공만족도와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p=.016), 전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p<.001),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임상수행능력(p<.001)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COVID-19 시기에 간호학과 학생들의 핵심 간호술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플립러닝 방식 실습 교육의효과를 제시한데 있다. 따라서 간호교육에 있어 플립러닝 방식 교육의 적극적인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n-tact FLPE(Flipped Learning Practical Education) on SM(Satisfaction with Major), CS(Core nursing Skills), ASE(Academic Self-Efficacy), and CP(Clinical Performance). The research design was one group pre-posttest and participants were 65 fourth-yea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2 to 03/04 2022.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using SPSS 25.0 program. After participating in FLPE, SM (t=.3.40, p<.001), CS (t=-13.93, p<.001), and CP (t=-7.99, 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M and CS (p=.016), SM and CP (p<.001), and CS and CP (p<.001). The results suggested that FLPE wa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to improve SM, CS and CP for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ctively apply FLPE with regard to nurs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