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Impact of Opening Size on Fire Spread Across Vertical Exterior Surfac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권오상 김흥열 강현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4호, 71~7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의 화재실험을 통해 개구부 크기에 따라 외부로 출화되는 화염에 의한 외벽의 온도 및 열유속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수직 화재확산에 대한 위험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화재실험은 2.4(L) × 3.6(W) × 2.4(H) m 크기의 구획 공간 Mock-up에서 목재크립을 가연물로 사용하고 햅탄을 초기 착화재로 사용하였다. 개구부는 2.2(L) × 2.0(H) m (#1)와 2.2(L) × 1.0(H) m (#2) 크기로 Mock-up의 전면부에 단일 개구부로 설치되었으며, 외부의 상부 벽면에 개구부 최상부(0.0 m), 0.5, 1.0 m에서 온도와 열유속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최대 열유속은 #1에서 15.0 kW/m2이고 #2에서 42.4 kW/m2로 측정되었다. 또한 최대 온도는 #1에서는 291.0 ℃이고 #2에서는 626.4 ℃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는 개구부 크기에 따른 구획공간의연소율뿐만 아니라 외벽에 주는 복사열과 온도의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of vertical fire spread on exterior walls subjected to flame ejection by measuring temperature and heat flux during real-scale fire experiments. The fir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mock-up measuring 2.4(L) × 3.6(W) × 2.4(H) m. Wood cribs were used as the combustible material, and heptane as the initial ignition source. The mock-up featured two singular openings of different dimensions, 2.2(L) × 2.0(H) m (#1) and 2.2(L) × 1.0(H) m (#2), on its front side. Temperature and heat flux variations were measured at the upper part (0.0 m) and on the exterior upper wall (0.5 and 1.0 m) of the mock-up. The maximum heat flux was 15.0 kW/m2 at location #1 and 42.4 kW/m2 at location #2. The maximum temperature was 291.0 ℃ at location #1 and 626.4 ℃ at location #2. This study examined the burning rate of the compartment and the impact of the opening size on the radiant heat and temperature of the exterior walls.
목차
1. 서론
2. 실규모 화재실험 계획
3. 실규모 화재실험 결과
4. 외부 수직화재 확산 분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