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Needs Analysis for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옥 최보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881~89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및 자기자비 증진에 필요한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전국에 있는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12일부터 2023년 1월 3일까지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요구조사를 하였다. 조사내용은 자기자비에 대한 필요성 및 주제, 운영방식, 자기자비 증진에 필요한 요인, 자기자비 척도로 설문지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설문 조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술식 질문을 추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와 엑셀로 분석하였다.
결과 자기자비 프로그램 필요성은 남학생은 92.7%, 여학생 80%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주제는 마음챙김-알아차리기, 대인관계, 소심/자신감 부족을 선호하였다. 운영방식은 96%의 높은 참여 의사를 보였고,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해 91.1%가 도움이 될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운영시간은 주 1회, 60분, 8회기 강의와 참여의 혼합방식을 요구하였다. 자기자비 증진에 필요한 요인은 심리적 편안함(84.1%), 대인관계 유연성(83.3%), 자기 이해 및 타인이해(82.8%)순이었다. 그 밖에 요인은 대인관계의 두려움과 발표 불안 등이며 현재 자기자비 수준의 결과는 35.3%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요구조사 결과 추출된 요인은 대학생을 위한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to develop a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and to find out the factors necessary for self-compassion enhancement.
Methods From December 12, 2022 to January 3, 2023, a needs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targeting 302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the necessity and subject of self-compassion, operation method, factors necessary for self-compassion enhancement and the self-compassion scale, and descriptive questions were add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urve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using Window spss 21.0, and additionally analyzed with Excel.
Results As for the need for a self-compassion program, 92.7% of male students and 80% of femal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needed it, The subjects preferred were mindfulness-noti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imidity/lack of confidence. As for the operation method, 96% showed a high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91.1% responded that the program would be helpful. The operation time required a mixed method of lectures and participation once a week, 60 minutes, 8 sessions. the factors necessary for enhancement self-compassion were psychological comfort (84.1%), interpersonal flexibility (83.3%),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s (82.8%). Other factors include fea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nxiety about public speaking, and the result of the current self-compassion level was 35.3%.
Conclusions The factors extracted as a result of this demand survey are meaningful in that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