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ollege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on New Nurses' Clinic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선미 김민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869~8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부과정에서 코로나19로 일부 임상실습을 제한받은 경험이 있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학부과정에서 경험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특성에 따라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수도권과 경상도에 소재한 12개 종합병원 신규간호사 197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1월 10일부터 2월 25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수행능력은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r=.54, p<.001)과 임상추론역량(r=.6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도 임상추론역량(r=.5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추론역량(β=.57, p<.001),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β=.25,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3.8%이었다.
결론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 임상추론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시뮬레이션 실습수업에서 다양한 사례의 시나리오 개발 및 간호대학생의 임상 현장감을 높이는 방법 등의 제반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New nurses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restrictions due to COVID-19 in the nursing department undergraduate cours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ir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they experienced, determine the effect of simulation practice on their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197 new nurses from January 10 to February 25, 2023, at 12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yeongsang-do.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sed on the SPSS/WIN 22.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r=.54, p<.001); likewis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r=.69, p<.001)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and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r=.50,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wer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β=.57, p<.001)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β=.25, p<.001). The explanatory power was 53.8%.
Conclusions To improve new nurses'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need to be developed. In the simulation practice class, efforts to enhance the clinical realism of nursing students are required, such as scenario development of cases and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