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Job Craf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미 부성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651~6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 잡크래프팅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잡크래프팅이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이 높을수록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의미 있는 상호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은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원장의 진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상호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잡크래프팅이 놀이교수효능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함께 유아교사의 잡크래프팅도 높일 수 있도록 원장과 교사 모두 서로 협력하고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job crafting in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24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gher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was shown to be correlated with increased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job crafting. Moreover, the play teaching efficacy increased wit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In other words, it was shown that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had been positively affected by the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Conclusions Furthermor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at increases the static influence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can be stated that job crafting acts as a variable that can improve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procedure where director authentic leadership impacts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directors and teachers need to collaborate together and make an effort to in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rafting as well as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