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The Case of H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차정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575~6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H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인증(개발, 성과) 평가지표 재정립(안)을 도출하고,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를 위한 환류 체계라고 할 수 있는 인증 체계(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먼저, H대학교의 인증 평가 체계 방향 설정과 개발 근거 설정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타 대학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차 구안(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1차 구안(안)에 대하여 내·외부 전문가를 대상으로 자문을 의뢰하였으며 자문에 의한 수정을 반복하였다. 최종적으로, 델파이 기법에서 활용되고 있는 내용타당도 비율 최소값(Lawshe, 1975; 김수란, 이선경, 2021 재인용)을 기준으로 내용타당성(CVR)을 확보하였다.
결과 첫째, H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개발인증지표는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재설계 및 계획’에 중점을 두고 자체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3개 평가영역, 8개 평가요소, 11개 세부항목으로 재정립(안)이 도출되었으며, 성과인증지표는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운영 및 성과’에 중점을 두고 자체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3개 평가영역, 5개 평가요소, 7개 세부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공교육과정 교육 질 관리의 지속적 환류 시스템의 전반적인 연간 체계, 즉, 인증 지표를 포함한 인정판정기준, 인증절차, 인증 후 사후 관리 등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H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인증 체계 재정립(안)을 도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H대학의 교육 방향성을 고려하고 내·외부전문가 다수에 의한 반복적 검토와 자문을 반영하여 재정립되었다는 점과, 일시적 단편적 인증제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질관리 시스템 정착의 ‘지속성’과 ‘실행 가능성’을 꾀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efine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of H University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H University's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1st stage redesign, 2nd stage outcome) indicators were reestablished, and second, H University's competency- based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system including indicators) was specified.
Methods First,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H University's accreditation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ment base,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other university cases and drew a draft based on them. Next, we asked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for advice on the draft derived, and repeatedly revised by advice. Finally, content validity (CVR) was secured based on the minimum content validity rate used in the Delphi technique (Lawshe, 1975; re-citation; Kim Suran, Lee Sunkyung, 2021).
Results H University's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first-stage accreditation index was reestablished into 3 evaluation areas, 8 evaluation elements, and 11 detailed items for the purpose of self-checking with an emphasis on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redesign and plan.” and, second-stage accredit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into 3 evaluation areas, 5 evaluation factors, and 7 detailed items for the purpose of self-checking with an emphasis on the operation and outcome of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Second, specific measures were established for the overall annual system of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major curriculum, that is, recognition criteria, accreditation procedures, and follow-up management, including accreditation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re-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H University, reflecting repeated reviews and advice by many internal expert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temporary fragmentary certific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H대학 전공교육과정 인증 체계 재정립(안) 구안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