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Self-efficacy on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인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531~54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 문화적 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H시와 D시에 위치한 2곳의 대학교 보건의료계열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은 높은 수준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 문화적 역량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 중 나이, 전공, 외국인 친구 유무, 다문화 강좌 수강 경험, 다문화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문화적 역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자기효능감은 문화적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문화 인식도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자기효능감과 전공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43.8%였다.
결론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해 다문화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을 활용하고 전공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self-efficacy, and cultural competency in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77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who were 1st and 4th years of the college in H city and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9.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had high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5.37±0.53), multicultural self-efficacy (5.05±0.71), and cultural competency (3.70±0.75).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tural competency according to age (F=3.253 p=.040), major (F=5.013, p=.002), presence of foreign friends (t=-2.810, p=.006), experience to taking multicultural lectures (t=-2.348, p=.020), and perception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10.370, p<.001) among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Third, multicultural Compet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awareness (r=.406, p<.001) and multicultural self-efficacy (r=.651, p<.001). And multicultural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self-efficacy (r=.583, p<.001). Fou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cultural competency were major (nursing) (β=.140, p=.025), major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β=.115, p=.043), multicultural self-efficacy (β=.572, p<.001), and a total explanatory power was 43.8% (F=20.566, p<.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a multicultural self-efficacy promotion strateg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