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History of Mathematics as a Goal focusing on Quadratic Curv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현 윤종국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433~4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차곡선을 주제로 한 목표로서의 수학사 활용 유형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수학사 활용 유형 및 우리나라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 방식 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 후 자료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수학사 관련 문헌을 통해 주제와 목적에 맞는 수학사 내용을 발췌하여 목표로서의 수학사 활용 유형에 맞는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현직 수학과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적합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결과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는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시간의 흐름대로 구성했으며 용어의 어원 분석, 고대 이차곡선의 발견, 근대해석기하학과 이차곡선의 관련성, 근대 천문학의 발전, 현대 지구과학에서의 활용 순으로 타 학문과의 연계성을 드러내면서 수학의 인간적인 면과 유용성을 드러내도록 하였다. 개발 자료에 대한 적합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목적에 맞게 잘 개발되었다는 관련 교과 교사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결론 목표로서의 수학사 활용 유형 방식의 교수·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 저하라는 환경 속에서 선택 중심교육과정 강화라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반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수학사를 통해 수학의 인간적인 면을 조금 더 부각시킨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선택을 이끌어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of “Quadratic curve”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as a Goal.
Methods The direction of data development was determined after examining the type of mathematics history utilization and the method of mathematics history utilization in Korean textbooks. Materia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extraction of mathematical history contents that are acceptable for subject and purpose. Twelve math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were tested for verif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material. After analyzing the test result, the material was revised and completed.
Results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in the order of etymological analysis of terms, discovery of ancient quadratic curves, relevance of modern analytic geometry and quadratic curves, development of modern astronomy, and use in modern earth science. While revealing the connection with other studies, the human side and usefulness of mathematics were revealed. A suitability test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materials, and positiv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teachers of related subjects that they were developed well for the purpose of research.
Conclusions In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is declining, the development type of using mathematical history as a goal can be a way to cope with the overall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of strengthen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choice. It will be helpful for students' interest and choices if the human side of mathematics is emphasized through mathematics histo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