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on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문경 이수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277~2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기질 및 성격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5~7세의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개입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부모의 기질, 성격 및 양육 태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문제행동의 프로파일에 따른 잠재집단 수를 결정하고 그 잠재집단에서 부모의 기질 및 성격과 양육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5~7세 아동 215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클로닌저의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3-6), 쉐퍼의 모 양육태도 척도(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그리고 아동 행동 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1.5-5)를 활용하여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이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기질, 성격, 양육 태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양육 태도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높은 영향을, 외현화 문제행동에서는 아버지의 낮은 자기초월이 높은 부적 영향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기질보다 성격 차원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과 보다 직접적으로 연관있으며, 양육 태도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질을 조절하는 성격 차원의 적응적 활용과 부정적 양육 태도를 지양하는 것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을 위한 방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of parentsr, and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on behavior problems of the children.
Methods A total of 251 parents of preschoolers aged 5-7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CI, Junior TCI, Schaefer’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1.5-5 (CBCL 1.5-5).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ere predicted by father’s self-transcendence (ST) character and mother’s negativ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lso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ere predicted by father’s reward dependence (RD) temperament and ST character and mother’s self-directedness (SD) character. Second, Secon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wo latent groups were extracted and named as high and low problem behavior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ther’s ST and mother’s temperament (harm avoidance, and RD) and character (SD, cooperativeness), and parenting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between high and low problem behavior groups. To sum up, the character dimensions of parents rather than temperament as well as parenting attitude were more directly associated with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the character dimensions orchestrating temperament and avoiding negative parenting might have greater influence on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