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완성 박득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139~1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N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 중에서 H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12명을 실험집단으로 S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12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동질성 검사를 통해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동적학교생활화를 사전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주 1회씩 90분간 10회기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전체 평균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만족감과 의사소통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동적학교생활화 검사에서는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에게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집단원들과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아동의 발달과정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Methods Among the local children's centers in N City,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H-area children's center were organiz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area children's center were organized as a control group.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ynamic school life were conducted as preliminary tests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a week for 90 minutes. After that, a post-test was conducted on the two groups,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ults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he overall average self-esteem and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in the dynamic school life te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able to observe meaningful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use local children's centers developed self-esteem by gaining positive emotions, confidence, achievement,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