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이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5호, 117~1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는 일 대학 간호학과 1학년부터 4학년에 재학 중인 400명이 참여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R 4.2.0 version을 활용하였으며, 변수의 특성에 따른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또 변수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에 있어서 진로결정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파악은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진로소명에 있어 진로결정은 r=.266(p<.00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r=.671(p<.001), 전공만족도는 r=.496(p<.001)로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진로결정에 있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r=.112(p=.026)로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전공만족도와는 r=.063 (p=.205)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있어 전공만족도는 r=.601 (p<.001)로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진로소명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β=.183 (p=.001)으로 나타났다. 진로소명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β=.207 (p<.001)이었으나, 진로결정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β=.051 (p=.339)으로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소명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β=.727 (p<.001), 진료결정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β=.449 (p<.001)로서 Sobet test 결과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신입생부터 체계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간호대학생의 진로소명을 함양하고, 진로결정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In this study, 400 students from the 1st to 4th grade of the nursing department at one university participated,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 to March 31,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 4.2.0 version an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Results First, in the career calling of nurs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r=.266(p<.001),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671(p<.001), major satisfaction r=.496(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r=.601(p<.001). Second, the effect of career calling on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β=.183 (p=.001). The effect of career calling on career decision-making was β=.207(p<.001), but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on major satisfaction was β=.051(p=.339), showing no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career calling on career decision-makig self-efficacy is β=.727(p<.001), and the effect of care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major satisfaction is β=.449(p<.001), which is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Sobet test. A mediating effect appear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It can help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career decision-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