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actors Influencing Local Public Officials’ Preference for Telecommuting: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fficials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이영기 이상우 김영환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2호, 111~14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에 따라 불가피한 대안으로 수행된 재택근무 제도의 만족도 및 재택근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무원 1,870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20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재택근무 필요성 인식, 업무 생산성, 원격포털 이용 만족도, 소통 용이성, 헬프데스크 지원 등의 변수들이 재택근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재택근무 만족도, 재택근무 필요성, 업무 생산성, 독립적 업무공간 보장 등의 변수가 서울시 공무원의 자발적 재택근무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무원의 재택근무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actors of officials’ satisfaction of the telecommuting system, which was carried out as an alternative to regular commuting in accordance with COVID-19 safety precautions. as well the intention for officials to work from home. 1,870 public officials in Seoul were analyzed. Analys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in 2020.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variables such as necessity of telecommuting, work productivity, remote portal, ease of communication, and helpdesk support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elecommuting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telecommuting, necessity of telecommuting, work productivity, and independent work spa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ntary intention of telecommuting by public officials in Seou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promote telecommuting of local public official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