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Daycare Teachers' Experiences of Supporting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서현 주현정 김방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913~9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들이 영아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헤 제공하는 실제적인 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심층적인 생각과 경험을 들어 봄으로써 주제와 관련된 복합적이고 자세한 현상을 이해 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S시와 C시의 교사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1차 소집단 면담, 2차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가 자료가 필요한 경우 전화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스스로 의사를 표현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민감하게 영아의 의사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 영아의 의사를 대변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영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에 대해 일상생활 중심으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영아의 참여권 실현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힘든 상황과 구체적인 지식 및 경험 부족, 영아 발달 등으로 인해 영아 참여권 실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모두 함께하는 인식 개선 및 영아의 개별 요구를 더 반영할 수 있는 환경, 계속 더 반성해 볼 수 있는 교사 교육의 기회 등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이야기하였다. 결론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맞춤의 방식으로 영아에 참여권을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요구를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보육 현장의 영아 참여권 지원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바탕으로 영아 참여권 보장 환경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day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and to identify challenges and needs in the proces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12 childcare teachers from S and C c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study involved conducting a first group interview and a second individual interview in a semi-structured format, as well as conducting phone interviews when additional information was needed. Results Childcare teachers who work with toddl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ress themselves and make decisions, and trie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They also acted as representatives of the toddlers wishes to others and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issues that affect the children. However, they faced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due to a lack of spec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developmental limitations of young children, and challenging circumstances. They discussed specific improvement needs for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such as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better reflects individual needs and improving teac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ontinued reflec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s that child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in a child-centered way. However,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have clear demands for improvement. It is crucial to continuously improve the childcare environment based on practical information related to supporting toddlers’participation rights ,to ensur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