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Perceived by Adult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아롱 김혜빈 조일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855~86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온라인 학습효과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세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KELS 2005) 자료의 2014(9차), 2016(10차), 2018(11차), 2020(12차)년도에 조사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시간에 따른 변화추이와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시간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온라인 학습효과의 평균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학습효과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모두 온라인 학습효과의 초기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변화율 역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정보활용능력이 자기조절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성인학습자의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미치는 유의한 영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안정적인 온라인 학습 효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초기부터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등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학습자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습득력과 적응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의 중요성과 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의 계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information literacy, self-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of adult learners,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Methods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by using data surveyed in 2014 (9th), 2016 (10th), 2018 (11th), and 2020 (12th)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The trend of change over time an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was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 of change over time, the average of information literacy, self-regulation, and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average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tatically predicted the initial value of the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and the rate of change was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literacy was greater than self-regulation in terms of the influence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Conclusion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significant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of adult learners. To ensure stable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prior training to improve competencies such as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is required from the beginning, and support is especially required so that learners can acquire and adapt to new technolog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seek ways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kill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 fields of online learning are expand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