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oject 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회정 방담이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805~8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수 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행역량 검사를 시행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 탐구/조사 및 분석, 프로젝트 운영, 협업, 발표 및 보고서 작성의 5개 역량에 따른 49개 항목에 대하여 중요도, 수행도, Borich 지수, IPA 매트릭스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아 집중강화 영역으로 분류된 항목은 모두 11개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중 2개 항목, 탐구/조사 및 분석역량 중 2개 항목, 프로젝트 운영역량 중 1개 항목이었으며 발표 및 보고서 작성역량에서 6개 항목으로 가장 많았다. 협업역량 중에는 집중강화 영역에 해당하는 항목이 없었다. 11개 항목은 Borich 지수에 따른 교육요구도 순위 중 1-14위에 속하였으며 상위 순위 중 저순위 영역 2개, 지속유지 영역 1개의 총 3개 항목이 제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설계, 운영할 때 현장 대응 능력, 혁신, 사고력, 위기관리와 리더십 등과 관련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strategy. Methods To this end, a project performance competency test was administered to 120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Importance, performance, Borich index, and IPA matrix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49 items of the five competencies: creative problem solving, inquiry/research and analysis, project management, collaboration, presentation and report writing.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all items was lower than their importance. A total of 11 items were classified as ‘Concentrate here’ area,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These included 2 items in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ies, 2 items in inquiry/research and analysis competencies, 1 item in project management competencies, and 6 items in presentation and report writing competencies which showed the highest number among the competencies. There was no item of ‘Concentrate here’ area in the collaboration competencies. 11 items were ranked within the 1st to 14th positions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Borich index. 3 items of the top rankings were excluded from ‘Concentrate here’ area, 2 items falling into the ‘low-priority’ area and 1 item into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field handling ability, innovation, thinking skills, crisis management and leadershi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