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Initi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in China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왕분 김주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629~6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 광시성 및 후난성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주도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고,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학년 및 전공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모든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중국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어 완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주도적 성격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미친다는 점에서 주도적 성격에 기반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형성을 통해 대학생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이행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initiative persona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Methods Initia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for 53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in Guangxi and Hunan provinces, China,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path leading from initiative personality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grad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confirmed between all variables. The direct effect of the initiative personalit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confirmed. Conclusions The initiative personality has no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able college students to carry out specific and practic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the formation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the leading persona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