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혜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553~56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성취기준 진술에 대한 혼란을 해결하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을 탐색한다. 방법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와 구분을 다루고 있는 국내 선행 논문 12편의 내용을 선정하여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규정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규정 중에서 올바른 규정을 찾기 위하여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에 성취기준이 처음 도입된 제7차 교육과정의 연구보고서에 제시된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 성취기준 진술 방안에 대한 내용과 비교하였다. 결과 내용기준의 의미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의 기준’과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기준’, 두 가지로 구분되며, 내용기준에 대한 전자의 규정에서 수행기준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기준’으로 규정되고, 후자의 규정에서 수행기준은 내용기준을 ‘내용+기능’으로 진술할 때 기능을 지식의 적용이나 활용에 초점을 두고 진술한 것, 지식의 적용이나 활용에 초점을 두고 진술하고 ‘도달점 단서’까지 제시하는 것, 내용기준에 포함된 지식, 기능을 학습한 결과로 얼마나 잘 하는지에 대한 성취 수준 혹은 숙달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 등 세 가지의 의미로 이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용기준과 수행기준의 의미에 대한 혼란의 원인과 해결을 모색한 결과, 내용기준은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기준’으로, 수행기준은 ‘내용기준에 포함된 지식, 기능을 학습한 결과로 얼마나 잘 하는지에 대한 성취 수준 혹은 숙달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으로서 성취기준을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의 내용 요소의 결합으로 진술되는 것이 아니라 지식, 기능, 가치⋅태도, 각 범주별로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the confusion about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 of 12 previous papers dealing with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tandards for what students need to know’ and ‘standards for what students need to know and can do’. Performance standards are ‘standards of what can be done’ if content standards are defined in the former meaning, and if defined in the latter meaning, it turns out that the performance standard can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three meanings; a statement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 statement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with a clue for achievemen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r mastery of how well the knowledge and skills included in the content standard are learned as a result. Conclusions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onfusion about the meaning of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content standards are ‘standards of what to know and can do’, and performance standards ar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r mastery of how well the knowledge and skills included in the content standard are learned as a result. As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a method of 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 by each category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rather than being stated as a combination of content elements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was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