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estion Trends and Item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Beauty Teacher Recruitment Test: Focusing on Beauty Pedagogy Part in 2014-2023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원 이종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537~55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서 교과교육학 영역의 출제 문항을 분석하여 내용의 변화와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공개한 2014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문항 중 교과교육학 출제 문항 2014학년도 7문항, 2015학년도 4문항, 2016학년도 4문항, 2018학년도 5문항, 2020학년도 5문항, 2023학년도 5.5문항으로 총 30.5문항을 대상으로 문항분석틀(미용 교육과정, 미용 교수⋅학습 모형, 미용 교육평가)에 맞추어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친 후 연도별, 평가 영역별, 평가 내용요소별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연도별 출제비율을 살펴보면 매년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준에 미치지 못한 학년도도 있었다. 둘째, 평가 영역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시험이 교수⋅학습 모형에 크게 편중되어 출제되었으며 교육과정, 교육평가 영역은 출제가 되지 않은 학년도도 있었다. 셋째, 내용 평가 내용요소별로 살펴보면 교수⋅학습방법 적용 운용, 평가방법에 치우쳐 운영되며 다양한 내용요소에서 출제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첫째, 2008년 이후 보완되지 않은 표시과목 「미용」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의 추가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미용 교수⋅학습 모형 영역에 편중된 시험에서 벗어나 최신 학문의 동향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교수⋅학습 모형, 교육평가의 다양한 영역에서 시험이 출제되고 교과내용학과의 연계 문제 등 심화적 문제가 출제될 수 있도록 제고해야 한다. 셋째, 미용 교과교육학 영역을 포함하여 교과내용학 영역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 출제의 기초자료 및 예비 교원들에게 도움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nt changes and trends of the beauty pedagogy questions by analyzing the secondary school beauty teacher recruitment test items. Methods According to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e secondary school beauty teacher recruitment tests from 2014 to 2023 had 30.5 questions in total for beauty pedagogy, including 7 questions in 2014, 4 in 2015, 4 in 2016, 5 in 2018, 5 in 2020, and 5.5 in 2023. This study analyzed them by year, evaluation areas and contents after verified by expert group, adopting an item analysis framework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odel, evaluation). Results First, the test has had a different rate of questions for beauty pedagogy, leaving a couple of years below the standard. Second, evaluation areas have been heavily weighted towards teaching⋅learning model, excluding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occasionally. Third, most of the evaluation content consis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cation and evaluation method, which doesn't cover various content elements. Conclusions First,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the qualification standards, elaborate the evaluation areas, and evaluate the teaching performance for the indication subject,「beauty」, which has not been supplemented since 2008. Second, referring to the latest academic trends, we should set questions from diverse areas such a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odel, and evaluation, and create a more intensive level of questions connecting pedagogy with content knowledge, relieving the overweight of beauty teaching⋅learning model part. Third, we demand follow-up research on content knowledge of beauty education, including pedagogy to help exam writers and prospective teachers to use them as a refer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