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nd Analysis of Korean Pronunciation Research Based on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남현 장경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451~4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발음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Riss에서 한 달간 한국어 발음 연구과 관련된 주제의 논문들을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넷마이너(Netminer) 4.5를 도구로 사용하여 학위논문 424편과 학술지 논문 517편을 제목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위논문에 대한 첫 연구는 1989년, 학술지는 1962년에 시작되었으며, 2008년부터 2022년까지 76.4%를 포함하는 총 719건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간별로는 2003~2007년에 비해 2008~2012년의 연구가 빠르게 증가했다. 빈도로는 학위논문의 경우 ‘학습’, ‘교육’, ‘중국어’, ‘계획’ 순으로, 학술지의 경우 ‘학습’, ‘교육’, ‘중국어’, ‘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두 단어가 동시에 나타나는 단어쌍을 살펴보면 학위논문과 학술지 모두 ‘중국어-학습’ 단어 간의 연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숙달도별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가 있어야 한다. 셋째, 음향음성학적 발음 실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각 실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종성 유음 및 비음 발음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nunciation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and development directions. Methods Using Netminer 4.5 as a tool, 424 dissertations and 517 academic journal papers in the field of pronunci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title. Resul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nunciation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and development dir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research on degree papers began in 1989 and academic journal in 1962, and a total of 719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76.4% from 2008 to 2022. By period, research increased rapidly in the 2008-2012 period compared to the 2003-2007 period. In terms of frequency, degree papers were studied in the order of ‘learning’, ‘education’, ‘Chinese’, and ‘plan’, and in academic journal, ‘learning’, ‘education’, ‘Chinese’, and ‘analysis’. Looking at the pair of words in which two words appear at the same time, both the degree thesis and the academic journal showed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words “Chinese-learning”. Conclusions First, research is needed targeting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Second, there should be a study to analyze the difference by learner's mastery. Third, various perceptual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Fourth, more research is needed on pronunciation of the syllable-final liquid ‘ㄹ’ and syllable-final nasa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