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ropout Intention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애리 하명옥 심형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385~3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감염증의 어려운 위기 상황에서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G대학 신입생 660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중도탈락의도를 조사했다. 대상자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중도탈락의도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애 영향을 주는 요인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은 서로 정적관계가 있었으며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은 중도탈락의도와 부적관계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으며, 중도탈락의도는 전공선택동기의 내적동기와 전공만족도의 인식만족, 교과만족, 대학생활적응의 환경적응과 진로적응과 유의한 부적 영향이 있었다. 결론 대학전공 선택은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고려하여 학생 본인이 선택하게 하며 선택한 대학과 학과에 입학해서 학점관리 및 자기계발을 통하여 전공에 대한 만족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위상을 높여, 대학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며 졸업 후 전공과 연계된 취업과 진로를 설정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마련된다면 중도탈락의도는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shman'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ropout intention in the difficult crisis situation of COVID-19. Methods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ropout intention were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were post-test using SPSS 22.0,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motivation for major choice,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tention to drop out.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jor choice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dropout intention was significant with intrinsic motivation for major choice motivation, cognitive satisfaction with major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career adjustment for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 was a talisman influence. Conclusions Therefore, when choosing a college major, students make their own choices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s and aptitudes. After entering the chosen university and department, they are encouraged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rough credit management and self-development, and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and adapt well to the university environment. It is thought that the intention to drop out halfway can be reduced if a systematic system is prepared to help and set up a career and employment related to the major after grad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