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Music Self-Perception Inventory(K-MUSPI-S) in Kore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언 김성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201~2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판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척도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영역별 음악적 능력과 전반적인 음악적 능력에 관련한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Vispoel(1993b)의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MUSPI)를 바탕으로 Morin et al. (2015)이 수정하고 타당성을 검증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MUSPI-S)를 번안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유아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인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K-MUSPI-S는 가창, 기악, 독보, 창작, 감상, 음악에 따라 움직이기, 음악 전반적 활동의 총 28개 항목, 7개 요인구조가 탐색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하위요인 및 척도 전체의 내적 합치도가 적절한 신뢰도를 보였으며, 7개 요인의 연구모형이 적합도 지수를 바탕으로 양호한 모델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공인타당도 분석에서도 요인 간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K-MUSPI-S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usical Self-Perception Inventory(K-MUSPI-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omestic application of the scale. Methods Morin et al. (2015) modified and validated the Musical Self-Perception Inventory(MUSPI-S)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In this surve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1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23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Results As a result, K-MUSPI-S explored a total of 28 items and 7 factor structures of singing, instrumental playing, reading, composing, listening, dance movement according to music, and general music abili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ub-factors and the entire scale showed adequate reliability,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research model of the 7 factors was a good model based on the goodness-of-fit index. In addition, in the validation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K-MUSPI-S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for use as a tool to measure early childhood eucation teachers' musical self-percep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