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ona 3 years, in the daily recovery stage Exploring student perceptions and educational challeng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경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37~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인 2022년 7월, 대구지역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 7월 7일에서 2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구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일상 교육 회복 정도와 어려움, 학생의 학교생활과 변화, 코로나 스트레스, 정보화 활용 수준, 코로나 이후 인식의 변화,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등이었으며 SPSS 26을 활용하여 분석, 기술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심리 정서, 사회성 회복의 방법으로 현장체험학습과 신체활동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고, 일상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으나 타인과 국가에 대한 신뢰는 보통 이하로 나타나 공동체 의식 함양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교사로부터 도움받고 싶은 내용은 진로, 진학 교육, 학습에 대한 격려였으며, 공동체교육과 건강교육의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하였다. 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력과 학교생활 전반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회복 단계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특성을 찾아내 사회정서 지원을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코로나 3년을 거치고 일상회복 단계에 들어서면서, 교육회복의 의미와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코로나를 경험하며 제기된 많은 문제를 다시 상기하였다. 교육회복은 과거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재건의 의미를 포함하기에 ‘망각’을 ‘기억’ 의지로, ‘수동’을 ‘능동’ 행위로 변화시켜, 교육계가 준비해야 할 일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students in Daegu in July 2022, the educational recovery stage. Methods To this end, from July 7 to 21, 2022, through an online surve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were surveyed for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for school life.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the degree and difficulty of daily education recovery, students' school life and changes, corona stress, information utilization level,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after COVID-19, school life adapt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described using Spss 26. Results Students recognized that field experiential learning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effective as methods of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recovery. Recognition of daily school life was average, but trust in others and the country was below average. In addition, the contents they wanted to receive help from teachers were career path, help for higher education, and encouragement for learning. The need for community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was greatly recognized.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igher the school life adapt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Efforts are needed to find out and utilize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educational recovery stage. Conclusions We looked a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recovery introduced in public education, and rethought many issues raised while experiencing the corona. Restoration of education does not mean a return to the past, but includes the meaning of reconstruction. Therefore, ‘forgetting’ was changed to ‘remember’ will, and ‘passive’ was changed to ‘active’ action, suggesting what the educational world should prepare f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