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rastination motives and procrastination: Mediating effects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성훈 정남운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693~70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지연동기(걱정, 낙관)와 일반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에서 남녀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질문지는 지연동기 척도,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일반적 지연행동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걱정동기 및 낙관동기, 평가염려 완벽주의, 지연행동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걱정동기는 평가염려 완벽주의를 통한 간접경로와 지연행동으로의 직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낙관동기는 지연행동으로의 직접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걱정동기와 낙관동기가 지연행동에 이르는 과정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미치는 상이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지연행동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procrastination motives (worry and optimism) and general procrastination behavior.
Methods For this study, 50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worry motivation and optimism motivation,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procrastination behavior. Second, in the worry motivation, both the indirect path through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and the direct path to procrastina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 and the optimistic motivation showed that only the direct path to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in the process of worry motivation and optimistic motivation leading to procrastination behavior. Consequentl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n intervention method for preventing and reducing procrastination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