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acticing Counselor Multiple-Role Stress Sc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호경 김지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655~6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개업상담자의 다중역할 스트레스의 구성개념을 확인하여 이를 반영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방법 개업상담자 다중역할 스트레스 척도 개발을 위해 관련 문헌과 척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전문가에게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개업상담자 22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개업상담자 24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공인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된 개업상담자 다중역할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의 하위요인은 역할과부하-상담전문가(6문항), 역할과부하-운영자(3문항), 역할갈등-상담전문가(6문항), 역할갈등-운영자(3문항), 역할모호성-운영자(4문항), 역할모호성-상담전문가(3문항)이며, 전체 변량 중 64.55%를 설명한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6요인 구조가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공인타당도,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개업상담자의 다중역할 스트레스의 구성개념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한 측정도구를 구성 및 타당화함으로서 개업상담자의 다중역할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상담 장면에서 역할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개업상담자의 심리적인 건강을 증진시키고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상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sitional concept of multiple-role stress of practicing counselor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reflects thi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scale development research.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an open-ended survey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28 practicing counselors to develop the scale. To validate the developed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40 practicing counselors from a new sample. The scale was verified for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Firstly, a practicing counselor multiple-role stress scale was develop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consisted of 6 factors and 25 items. The subscales of the scale were role overload - counselor (6 items), role overload - owner (3 items), role conflict - counselor (6 items), role conflict - owner (3 items), role ambiguity - owner (4 items), and role ambiguity - counselor (3 items). The 6 factors explained 64.55% of the total variance. Second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6 factors was adequate, as the fit indices were acceptable. Thirdly, the scale was found to have acceptable levels of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compositional concept of multiple-role stress of practicing counselors and developed and validated a tool to measure it. The practicing counselor multiple-role stress scale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and prevent psychological harm for practicing counselor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counseling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