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525~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교육 환경의 전환에 따른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를 설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디지털 역량 관련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초안을 설정하고, 한국어교육 분야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의견 수렴도, 합의도, 안정도를 산출하고자 리커트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주관적 의견을 바탕으로 상위 역량 및 세부 역량 요소의 재배열 및 수정을 실시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을 구성하고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 요소의 체계성 및 관련성, 적절성 등을 검증한 후 최종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 도출된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는 2개의 범주 아래 7개의 상위 역량과 25개의 세부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어 교원의 기본 역량’ 범주에 해당하는 상위 역량은 ‘디지털 기기 활용’, ‘디지털 의사소통’, ‘디지털 시민의식’, ‘디지털 안전 및 보안’ 역량이며, ‘한국어 교원의 교수학습 역량’에 해당하는 상위 역량은 ‘디지털 한국어교육 콘텐츠 활용’, ‘디지털 한국어 교수학습’, ‘디지털 한국어 평가’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한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설정은 향후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에 필요한 학문적 시사점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원 집단 간 디지털 역량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 basic study to improve the digit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gital 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Method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draft of the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digital competence, and a second Delphi Method was conducted on 15 expert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rst Delphi Metho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opinion collection, consensus, and stability of each item were evaluated on a Likert 5-point scale, and the upper and detailed competence elements were rearranged and modified based on the subjective opinions of experts. In the second Delphi Method, a structured survey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was constructed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Delphi Method, and the final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were derived after verifying the systematic, relevance, and appropriateness of digital competence elements based on expert opinions.
Results The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finally derived, consisting of 7 upper competencies and 25 detailed competencies under 2 categories. The upper competencies in the category of basic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digital device utilization, digital communication, digital citizenship, and digital safety and security. The upper competencies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onsisted of using digit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digit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digital Korean language evaluation competencies.
Conclusions This study's establishment of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s academic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grams, curricula, and evaluation tools to enhance their digital competence in the future. Moreover,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bridge the gap in the use of digital competencies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 group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