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 Korean Teachers of Korean Teach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355~37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삶과 교육 경험을 질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와 함의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이며 인간의 경험 속에 내재된 의미를 탐구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내러티브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다섯 명의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자료 분석 과정은 Creswell(2013)에서 제시한 내러티브 연구의 자료 분석 단계를 따라 진행하였다.
결과 자료 분석 결과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서 나타난 주요 주제는 ‘우연한 기회로 들어선 한국어 교사의 길’, ‘교사 생활의 가장 큰 보상은 학생’, ‘한국어 교사라는 모호한 신분’, ‘교육 외의 업무에 대한 부담감’, ‘동료 교사에게 얻는 정서적 안정감’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참여자들은 직업 선택에 있어 자아실현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 생활에 가장 큰 보람과 동력을 주는 것은 학습자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외적인 업무에 대한 부담감과 동시에 한국어 교사의 신분에 대한 고민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참여자 모두 한국어 교사의 처우 개선을 바라고 있었다. 다섯째, 동료 교사와의 관계가 직업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lif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explore in-depth the topics and implications they show in common.
Methods It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most suitable narrative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meaning inherent in human experie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at least 10 years of experience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The specific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following the data analysis steps of narrative research proposed by Creswell(2013).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 main topics that appeared in educational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the start of the career as a Korean language teacher by chance’, ‘students are the biggest reward as a teacher’, ‘the ambiguous status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burden about work other than educ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gained from fellow teachers’.
Conclusions First, the participants highly rated the value of self-realization in occupational choice. Second, learners were the ones that give the greatest reward and motivation to the participants as teachers. Third, they were pressured by the burden of work other than education, as well as concerns about their status as a Korean language teacher. Fourth, all of the participants claimed they want improved treatment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Fifth,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had a great impact on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