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related variables: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typ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웅 김춘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263~2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구 및 경북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 6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복잡한 인과관계를 동시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이 성인애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MANOVA를 실시하였다. 그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요인별로 ANOVA와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가 입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들은 성인애착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결론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갖는 성인애착유형의 차이를 고려해야 하며, 심리적 소진의 보호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향상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해서 성인애착유형에 따라 교육적 차원 및 치료적 접근 방법을 다르게 탐색해야 하는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variables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types.
Methods To this end, 6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can simultaneously verify complex causal relationships. M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variabl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dult attachment type. After that, ANOVA and Scheffé follow-up verification were conducted for each factor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ar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was proven. Second, variables related to teacher psychological burnout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adult attach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are protective 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evidence to explore educational dimensions and therapeutic approach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adult attachment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