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Teaching Creativity: From 2012 to February 2023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249~2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창의성 연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향후 교수창의성 연구의 기초자료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방법 교수창의성 관련 연구가 시작된 2012년을 시작으로 2023년 2월까지 이루어진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관련 연구 중 학술지에 게재된 28편, 학위 논문 52편, 총 8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시기별 동향, 연구 방법의 동향, 교수창의성 검사에 활용된 검사 도구, 교수창의성과 함께 연구된 연구 관련 변인, 연구에서 교수창의성이 어떤 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교수창의성에 대한 연구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18년부터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인다. 둘째, 교수창의성 연구는 한편의 메타분석 연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상관연구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양적 연구 모두 동일한 검사 도구가 사용되었다. 넷째, 교수창의성 연구의 관련 변인으로는 교사 관련 변인이 가장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교수효능감이 빈번하게 함께 연구되었으며 교육과정 개정 전후로 하여 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 교수효능감, 놀이 지원 역량 등이 빈번하게 함께 연구되고 있다. 다섯째, 교수창의성은 연구에서 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활용되며, 매개변수로서의 역할 또한 자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영유아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관련된 연구는 약 10년 전부터 시작되어 누리과정 개정과 함께 더욱 활성화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련성 등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연구의 성과와 더불어 교수창의성 관련 연구에 단일 도구의 사용, 평정자가 주로 교사이며 교사 관련 변인과 주로 연구가 이루어진 점,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양적 연구에 치우친 점 등을 볼 때, 검사 도구 및 연구 방법의 다양화,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반영한 교수창의성의 재정의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is study aim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n teaching creativity studies, provide comprehensive trend data,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teaching creativity research.
Methods From 2012 to February 2023, 80 teaching creativity studies which included 28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52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identified as samples.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research trends, research methods, tools, research variables that were studied with teaching creativity, and the role of teaching creativity in each study.
Result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studies on teaching creativity started from 2012 and increased steadily from 2018. Second, except for the one study which used meta-analysis, the remaining 79 studi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Third, 79 studies used the same tool for teaching creativity. Fourth, among variables, teacher related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child related variables or context related variables as investigating teaching creativity. Lastly, teaching creativity often took the role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mediators in each study.
Conclusions In summary, studies of teaching creativity are increasing with the recent revision of curricula. However, there are a couple of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eaching creativity. Considerations include reexamining the concept of teaching creativity with the updated understanding of curricula, developing diverse tools for teaching creativity, diversifying raters, and including children variables for valid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