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evelopment of Faculty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Instrument: The Case of G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은영 채수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235~2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교수들의 교수 효과성/ 역량 및 교수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진단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방법 G 대학의 교수 활동에 관한 비전에 해당하는 전문역량(Specialization), 공감역량(Sympathy), 학생지도역량(Student Care), 수업역량(Self-development in Teaching) 등 네 개의 역량(이른바 4S)을 기반으로 도출한 교수 역량진단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 문항에 대해 전문가 자문, 교원 응답 결과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초 작성된 84개의 문항에 대해 교육전문가 5인의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63문항으로 정리하였다. 대학 소속 교원의 응답을 분석하여 48개의 문항(전문역량 13, 공감역량 14, 학생지도역량 10, 수업역량 11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네 개 역량, 역량별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성별 및 교수 직급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네 개 전공역량은 크게 보아 집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세부 하위 역량을 검토한 결과, 전공 전문성, 지역사회 공감역량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공 전문성에서는 부교수가 조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과학적 진단 도구 분석을 토대로 교수 교육역량 종합 프로그램 구축 및 활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designing an diagnosis instrument for measuring faculty teaching effectiveness/competency.
Methods A pool of diagnostic items we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four teaching competencies that correspond to visions of G university: Specialization, Sympathy, Student Care, and Self-development in Teaching (namely 4S). Experts’ consultation and factor analysis of the faculty responses were conducted.
Results A total of 84 items reviewed by efive5 educational experts. Then, we obtained a total of 63 questions from the survey analysis. Faculty responses were analyzed, which resulted in 48 questions (13 specialization, 14 sympathy, 10 student care, 11 self-development in teahc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sulted in four core competencies, where three sub-constructs underlie. The four major faculty competency scor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gender and faculty level. According to th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sub-competences, male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females in relation to specialization and sympathy competency. Associate professo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assistant professors do in the specialization competency of their subject knowledge.
Conclusions We suggested to establish and utilize a comprehensive program for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기초 문항개발
Ⅳ. 진단도구 검토
Ⅴ. 성별 및 직급에 따른 차이 검증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