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숙 김미점 김유나 노윤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3호, 151~1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15

국문 초록
목적 비대면 수업만족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석사학위논문 52편, 박사학위논문 11편, 학술논문 152편으로 총 215편이다. 자료의 코딩방법은 Lipsy와 Wilson(2001), Cooper(2010)의 메타분석방법과 코딩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효과크기는 상관자료를 Fisher의 Z계수로 바꾸어 계산하였고 해석의 용이성을 위해 상관계수로 다시 변환하여 해석하였다.
결과 비대면 수업만족 관련 변인의 전체효과크기는 .582로 높게 나타났으며 콘텐츠(.665) 교수자(.627), 지원체계 및 시스템(.593), 학습자(.542)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았다.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에서는 발행연도, 연구대상, 비대면수업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행연도에서는 2020년 이후 논문(.572), 연구대상에서는 중학생(.801)과 성인(.660), 비대면 수업 유형에서는 실시간 비대면 수업(.607)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비대면 수업만족 관련 연구를 정리함으로써 비대면 수업만족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교육 장면에서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 방법이나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meta-analysis with the goal of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collected data in the form of dissertations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up to 2022. The final selection of papers numbered 215, including 52 master’s theses, 11 doctoral dissertations, and 152 academic papers. The coding method for the data followed the meta-analysis methods and coding procedures by Lipsy and Wilson(2001) as well as Cooper(2010).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correlated data into Fisher’s Z transformation, which was then converted back to a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erpretability.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class satisfaction variables was high at .582, with effect sizes higher in the order of content, teacher, support model and system, and learner. In terms of effect size depending on moderator variable, the study found differences depending on year of issue, research subject, and non-face-to-face class type.
Conclusions This study specificall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by organizing research related to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the educational scene, effective non-face-to-face class methods or strategies should be sough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