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ications of the Idea of Play for Mo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1호, 4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국문 초록
인간 발달의 초기 단계를 특징짓는 활동이 놀이라는 것은 놀이가 인간의 삶과 교육의 모습을 가장 순수한 형태로 담고 있음을 시사한다. 듀이와 오우크쇼트의 놀이 개념은 삶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관점에 입각해 있다. 듀이가 삶을 문제해결의 과정으로 간주하고 놀이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가치있다고 생각했다면 오우크쇼트는 놀이를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삶의 관점은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삶을 문제해결의 과정으로 파악하는 입장에서 피아제는 놀이를 통해 규칙에 대한 인식과 함께 도덕성이 발달한다는 것을 관찰하고, 놀이가 교육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오우크쇼트와 유사한 관점에서 쉴러는 유한한 존재로서의 인간이 신적 경지에 이르는 방편으로 놀이를 제시한다. 놀이가 방편이라는 것은 놀이가 교육의 방법인 동시에 이상이라는 점을 함의한다. 놀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모습과 삶을 돌아보는 이상적인 기준을 갖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point that play can be seen as the criterion of activity and its implication for moral education, by illuminat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play in deep dimension.
Dewey and Oakeshott show entirely different viewpoints of life with regard to the concepts of play. In Dewey’s view, life is the consecutive problem-solving process and play can be an useful means for the problem-solving. On the other hand, For Oakeshott, the meaning of life is constituted by understanding the world and play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activities in that it is an unique activity that leads us to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Piaget observed that children could develop intellectually and morally in process of play. He thought play as an useful method of moral education. While Piaget thought play as a means to facilitate moral development, Schiller thought it as the ideal state of morality. Schiller assumes play as a method through which man, a limited being, can reach the divine state and he suggests the concept of ‘play drive’ and ‘semblance’ as a motive force of play. Man's play drive, instigated by semblance, excites him to pursue the original form of the semblance, that is, the passion to know the reality. Here semblance means visible expression of reality and school subjects can be examples of semblance because a school subject is to be the selected and systemized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e self-cultivation. We can not have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the natural-born mind without the efforts to teach and learn school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놀이의 의미
Ⅲ. 놀이의 교육적 의의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