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ental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in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종민 전은경 김유경 배소영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2, 354~371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Scale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elf-efficacy-Revised 한국어 버전(SPISE-R-K)의 신뢰도를 검사한다. 두 번째, 재활경험과 아동의 청력손실 정도가 양육자가 인식하는 자기효능감과 재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세 번째, SPISE-R-K를 사용하여 한국 청각장애 영유아와 양육자를 위한 조기중재의 특성을 파악한다. 방법: 청각장애 영유아 양육자 61명으로부터 SPISE-R-K 설문응답을 수집했다(아동 평균 연령=20.85 개월, SD=7.85; 남=33, 여=28). 모든 아동이 보청기(36명)나 인공와우(25명)를 착용하고 있었다. SPISE-R-K의 ‘지식’, ‘자신감’, 그리고 ‘행동’ 영역에 대해 신뢰도를 분석하고, 재활경험과 청력손실 정도가 각 영역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또한 각 영역별로 문항 간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Cronbach’s α분석 결과, ‘지식’, ‘자신감’, ‘행동’ 영역 모두 신뢰할 수 있는 내적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아동의 재활경험은 각 영역 점수에영향을 보이진 않은 것에 비해, 아동의 청력손실정도는 양육자의 지식 점수에 영향을 주었다. 전반적으로 양육자는 청각적 접근성에 관한 자기효능감이 언어발달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SPISE-R-K는 양육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참여를 파악하기 위해 신뢰하고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 또한 전문가는 SPISE-R-K를 이용해서 청각장애 영유아의 양육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중재를 제공 할 수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elf-efficacy-Revised (SPISE-R-K), (2) to examine whether rehabilitation experience and residual hearing level have an impact on parental self-efficacy and their involvement in rehabilitation processes, and (3) to describe the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CHL) and their caregivers in Korea by analyzing the items in the SPISE-R-K. Methods: We collected 61 SPISE-R-K questionnaires from the caregivers of CHL (mean age= 20.85 months, SD= 7.85; male= 33, female= 28). All children used hearing devices (hearing aid (s) users= 36; cochlear implant (s) users= 25).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assessed, and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experience, and children’s residual hearing were examined for the sub-sections of ‘Knowledge’, ‘Confidence’ and ‘Action’. Moreover, the item scores from each section were compared. Results: Cronbach’s α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PISE-R-K was reliable in measuring the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of caregivers of CHL. We found that the rehabilitation experie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section’s score whereas residual hearing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Knowledge’ section scores. Overall, parents showed higher self-efficacy in items related to auditory access than in items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Conclusion: The SPISE-R-K is a reliable tool for measuring the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of Korean caregivers of young CHL. We hope that professionals utilize SPISE-R-K to identify th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provided to caregivers of young Korean children with hearing loss, making it a valuable tool for early interven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