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Errors in Sentence Repetition by Subgroup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피민경 하승희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2, 314~32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문장 따라말하기는 대상자의 작업기억 능력을 알아보고 잔존한 언어지연을 감별할 때 임상적으로 유용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문장 따라말하기 수행력을 살펴보고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에 나타난 오류 유형 및 형태구문 측면의 강약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5-7세 말소리장애 아동 34명을 조음장애, 음운지연, 음운장애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한 뒤 말소리장애 아동의 문장 따라말하기 수행력을 살펴보기 위해 조음 오류를 포함하거나 제외한 방식으로 구분하여 채점하였다. 또한 문장 따라말하기에 나타난 오류를 어휘 및 문법형태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문장 따라말하기에서 음운장애 아동은 생략 오류, 그중에서도 문법형태소 생략이 두드러졌으며 문장대치 오류 또한 빈번했다. 음운장애 아동의 어휘 및 문법형태소 오류가 다른 말소리장애 유형에 비해 많았다. 언어와 조음 오류를 모두 반영한 점수 체계에서도 음운장애가 조음장애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논의 및 결론: 말소리장애 아동 중에서도 음운장애 아동이 문법형태소를 정확하게 회상하여 따라하지 못하고 형태구문론적 약점이 두드러지는 점으로 보아 임상 현장에서 문법 영역 중재를 체계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entence repetition tasks (SRTs) are clinically useful tasks for examining working memory ability and discriminating residual language delay.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ntence repetition skills by groups of children with SSDs and analyze error types and morphosyntactic strengths and weaknesses in SRTs. Methods: Thirty-four children aged 5-7 years with SSD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articulation disorders,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SRTs were conducted, and errors in S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lexical and grammatical morphemes and children’s sentence repetition (SR) skills were examined by two scoring systems including or excluding articulation errors. Results: In SRTs,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more omission errors; in particular, omission of grammatical morphemes, and sentence paraphrase errors were more frequent.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more lexical grammatical morpheme errors than the other subgroups. Even in the scoring system that reflects both language and articulation errors,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a lower performance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Conclusion: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exhibited morphosyntactic weakness by showing greater difficulties in repeating grammatical morphemes accurately in SR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systematic grammar intervention should be addressed for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