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xical Priming Effects According to the Priming Type and Word Order Canonicity on Sentence Production in Persons with Aphasia: An Eye-Tracking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조수정 성지은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2, 287~3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집단 간 어휘 점화 과제 시 점화어 유형과 어순 전형성에 따른 점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방법: PWA 환자 12명과 정상 성인(HA) 12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한 어휘 점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1) 대상 점화 조건에서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 간 피동 문장 산출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피동 문장 산출 비율은 대상 점화 시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형적 어순 조건일 때 비전형적 어순 조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실어증환자집단에서 더 낮은 대상 관심영역 시선고정이 나타났으며, 두 관심영역에 대한 시선고정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실어증 환자 집단은 발화 구간에서 유의한 시선고정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어휘 점화 과제 시 피동 문장 산출 비율 분석 결과 실어증 환자들이 문장 산출 전략으로써 어휘에 기반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선추적에서는 유의한 점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어증 환자들이 어휘 기반 정보와 구조 기반 정보 중 어떤 정보를 선호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if persons with aphasia (PWA) can use word-level information as a sentence production strategy.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lexical priming on the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using an eye tracking while-speaking paradigm. Methods: Twelve PWA and twelve healthy adults (HA) described transitive action pictures in sentences following lexical (agent or theme) primes. The priming effect was calculated using both off-line (syntactic production) and real-time (eye fixations) measures. Off-line priming effect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ime type (agent vs. theme) and word order canonicity, and the on-line analyses were conducted by the prime type and five speech regions. Results: 1) PWA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HA group in the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under the theme prime condition. The proportion of pass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eme prime condition compared to the agent prime condition and in canonical word order versus non-canonical word order. 2) PWA showed reduced eye fixations to the theme character compared to HA and showed evenly distributed fixations to both agent and theme characters. PWA did not show reliable differences in five speech regions. Conclusion: In off-line passive production, PWA showed preserved lexical priming effects; however, they did not show a significant prime effect on eye fix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WA have relatively intact ability to use word-level cues on syntactic production during off-line sentence produc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