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 Morphological Awareness-based Intervention Program on Spell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영은 정경희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2, 255~2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형태소인식기반 쓰기 중재 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철자 쓰기 및 형태소인식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또래 평균 수준의 지능 및 어휘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받아쓰기 검사에서 10-25% 이하에 속하는 총 3명의 3-4학년 쓰기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는 단단어, 합성어, 파생어로 이루어진 격음화와 ㅎ탈락이 적용되는 단어를 중심으로 받아쓰기 검사도구를 적용하였다. 사전, 사후, 유지 절차를 포함한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중재 기간은 주 2-3회씩 약 5-6주, 총 16회기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형태소인식 능력을 기반으로 한 쓰기부진 아동의 격음화와 ㅎ탈락 단어의 쓰기 중재 효과가 기초선에 비해 쓰기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중재 후, 2주 뒤에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태소인식 능력을 기반으로 한 쓰기 중재 결과 쓰기부진 아동의 형태소인식 능력이 기초선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중재 후 2주 뒤에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형태인식기반 쓰기 중재가 쓰기부진 아동을 위한 증거기반 쓰기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pelling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on school-age children’s spelling and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ies. Methods: A total of 3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in 3rd to 4th grade were selected. A dictation test tool was applied, focusing on words with aspirated consonants and ‘ㅎ’ (/h/) deletion; and consisting of single words, compound words, and derivative words. A multi-intermittent baseline design methodology including pre-, post-, and maintenance procedures was applied, and the intervention period was 2-3 times a week for 5-6 weeks, for a total of 16 session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pelling intervention effect focusing on aspirated and ‘ㅎ’ deletion of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resulted in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baseline and was maintained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spelling intervention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children with poor writing skills improved compared to the baseline and was maintained even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based spelling interventions can be used for evidence-based spelling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절차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