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Inferiority Feeling on the 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The Mediation Effect of Anger 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장영혜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3호, 165~1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열등감과 전위공격행동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총 2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sobel 검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열등감은 전위공격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등감과 전위공격행동 사이에서 역기능적인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적응적인 분노표현(분노조절)의 경우 매개효과가 나타나지않았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열등감을 가진 사람들의 전위적 공격행동을 낮추기 위하여 분노조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angerexpression, anger suppression, and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feelings and 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To this end, the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conducted on a total of 23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the data were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verification.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inferiority complex had a positive effect on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Seco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 expression,anger sup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feriority feelings and displacedaggressive behavior, and 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 control) had no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for anger control to lower the displacedaggressive behavior of people with inferiority feel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