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Using Panel Data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강욱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3호, 113~1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COVID-19 발병 전후 사회적 고립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살펴보고, 사회적 고립감을 완충하기 위한 개입방안 모색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발표한 2019년과 2021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SPSS 21.0 프로그램으로분석하였다. 2019년 데이터는 COVID-19 이전 상황을, 2021년 데이터는 COVID-19 이후 상황을 나타낸다. 연구결과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 자살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 정도,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느끼는 정도와 같은 사회적 고립감은 COVID-19 발병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일용근로자의 경우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 교육 수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 간에도사회적 고립감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COVID-19 이후 집단 심리방역이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특성 외에 사회적 고립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social isolation changed before and after theCOVID-19 outbreak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thesearching of intervention measures to mitigate social isolation. To do so, we used panel data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compared 2019 survey data with2021 survey data.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2019 surveydata represents the pre-COVID-19 situation and the 2021 survey data represents thepost-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verall social isolation increasedafter the COVID-19 outbreak but decreased for day laborers. Differences in social isolation werealso observed among groups categorized by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As thepsychological prevention of groups becomes more important after the COVID-19 outbreak, it isessential to investigate the various factors that can influence social isolation beyonddemographic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