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Driver Communication on Driving Anger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장유리 정미숙 최보영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4권 1호, 20~3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03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운전 중 의사소통이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교통안전교육을 받는 교육생과 일반운전자 4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전 중 의사소통 유무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상태운전분노의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변경 시 방향지시등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사용한 경우보다 상태운전분노가 높았다. 둘째, 특성운전분노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상태운전분노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운전상황에서 느끼는 분노의 감소를 위해, 운전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운전의도를 예고하거나 비상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운전자의 운전분노를 감소시키고,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심리적 문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driver communication on driving ang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10 participants composed of students in driving safety classes as well as non-student drivers.
Result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level of state driving anger felt by the driver depending on presence of inter-driver communication. State driving anger was higher when drivers did not use turn signals during lane changes compared to when they did. Secondly, it was found that trait driving anger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e driving anger.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rivers need to actively communicate their driving intentions or use hazard lights appropriately to reduce anger experienced in driving situations. It is recommended that in-depth research be conducted on the psychological issues affecting driver anger and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it to decrease driver anger and prevent traffic acci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