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dolescent’s Invalidating Environment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박영미 구본용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4권 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03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경험회피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무효화환경, 부정적 자동적사고, 경험회피와 정서조절곤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경험회피가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무효화환경이 정서조절곤란을 야기하는 데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경험회피가 이중매개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과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alidating environment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500 adolesc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focusing on invalidating environment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 dysregulation.
Result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alidating environments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Secondly, a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alidating environments and emotion dysregulation. Thirdly, it was found tha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experiential avoidance show a du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alidating environments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Conclusion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re dual mediation factors in invalidating environments causing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s the need for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s aimed at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or adolescents experiencing difficulties.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