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영 윤경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559~5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연민, 지각된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S시와 M시 간호대학생 161명으로 2022년 6월 21일부터 2022년 7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PSS for Windows Ver.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Mann-Whitney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회귀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연민은 80.43점, 지각된 스트레스는 18.33점,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116.63점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자기연민(r=.47,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활 적응 하위영역 중 대처역량은 지각된 스트레스(r=.18, p=.026)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요인(성별, 성격, 휴학경험, 학과적응, 대인관계 문제, 전공 만족)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기연민(β=0.34, p<.001)은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학과 적응도와 자기연민이 유의한 요인임을 시사하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학과 적응도와 자기연민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perceived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ir influ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161 nursing students belonging to two colleges located in S city and M city, from June 21 to July 20, 2022. The SPSS/2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Mann-Whitney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Results Nursing students scored 80.43 on Self-compassion, 18.33 on perceived stress, and 116.63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djustment to college lif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r=.47, p<.001). Among the sub-domains of college life adaptation, coping capac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stress (r=.18, p=.026).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adjustment (gender, character, leave of absence experience, department adjustment, interpersonal problems, major satisfaction) were input as control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Self-compassion (β=0.34, p<.001)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epartment adaptability and self-compassion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refore, a program to improve department adaptation and self-compassion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ap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