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evelopment Study of Evaluation Criteria for Convergence Curriculum i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선 최혜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453~4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융합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대학 융합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평가 준거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숙의(Deliberation)’를 강조한 융합교육과정 평가 준거 가안을 작성하였으며, 1차 전문가 협의회를통해 초안으로 수정하고, 2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정안으로 가다듬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진 간의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융합교육과정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융합교육과정 평가를 위해서는 융합교육 관련자들의 숙의가 중요한 요소라고 보아 기존의 교육과정 의사결정 평가 모형(CIPP)을 변형한 CDPP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CDPP 평가 모형은 대영역은 상황 단계, 숙의 투입 단계, 수행 단계, 산출 단계의4개 대영역과 그에 따른 중영역 10개, 소영역 25개, 세부평가 지표 63개로 최종 개발되었다.
결론 대학 융합교육과정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융합교육과정 계획·설계를 위한 관련자들의 ‘숙의’가 중요하며, 융합교육과정 편성·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및 융합교육과정 체계화를 돕는 ‘성과관리’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beyond traditional major education centered on a single major.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university convergence curriculum evaluation model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 preliminary draft for a convergence curriculum evaluation emphasizing ‘deliberation’ was made, revised into an initial version through the first expert council, and conducted a second expert survey to refine it into a revised version. Finally, the final version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was derived based on the contents of consultation between the researchers.
Results To this end, As a result of the study, a CDPP evaluation model was proposed that transformed the existing decision making evaluation model(CIPP) as the deliberation of those involved in convergence educ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the convergence curriculum. Also, according to the CDPP evaluation model, 4 large areas, 10 medium areas, 25 small areas, and 63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Conclusions In order to systematize the university convergence curriculum, ‘deliberation’ of those involved in planning and designing the convergence curriculum is essential.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student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onvergence curriculum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o help systematize the convergenc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