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sive Education Beliefs and Perception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아 신수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411~42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와 통합교육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광주·전남지역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179명의 예비유아교사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 인식에 대한 기초통계,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검증,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전체 통합교육 신념과 통합전문성, 통합협력, 통합효과, 통합인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합의지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여부에 따라 통합교육 신념에서 차이가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학년과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경험은 통합교육 신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이해교육의 필요도는 높게 인식한 반면,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자신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해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자신감이 높고,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다. 셋째, 통합교육 신념과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필요도, 이해도, 자신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이해교육의 관심도와 필요도, 이해도는 상관관계가 있지만,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필요도와 자신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유아 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 및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교육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한편, 장애이해교육에대한 이해도 증진과 실행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riables that affec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sive education beliefs and perception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education beliefs an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on their beliefs in inclusive education and perception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Basic statistics, t-tes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final 17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on inclusive education and perceptions o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all inclusive education belief, inclusive expertise, inclusive cooperation, inclusive effect, and inclusive percep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 but the inclusive will was relatively weak.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clusive education belief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was taken.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des and their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inclusive education belief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s high, but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lower grades, the upper grades had higher confidence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th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taking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s ha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education belief, need for, understanding of, and confidence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need,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ed and confidence in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education on inclusive education an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the curriculum that can increas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increase confidence in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