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Play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미 장상옥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319~3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사대상은 경남지역 유아교육기관의 만3-5세 담당 유아교사 324명으로, 2022년 6월 20일부터 7월 17일까지 교사의 자율성, 놀이지원역량 및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설문지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율성, 놀이지원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은 높은 수준에 가까웠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의놀이실행에는 교사의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play implementation of the in the 2019 Nuri curriculum.
Methods For data collection, 32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about teachers’ autonomy, play support competency on the play implementation of the in the 2019 Nuri curriculum from 30 May 2022 to 12 Jun.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SPSS 25.0.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play support competency, and play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in high lev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teachers’ autonomy, play support competency, and play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was found to influence on the play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clusions Th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play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s autonom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need to be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