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elf-Growth Experience through Counseling Psychology Class: use of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은 이상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231~24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심리 교과수업을 통한 고등학생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인식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방법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문헌, 개방형 질문지, 1:1 심층 면담을 통해 33문항의 Q 표본을 확정하였고, 목적 표집을통해 상담심리 교과수업을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0명을 P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Q 표본을 9점 척도 분포도 내에서 강제배분 방식으로 분류한 후 QUANL-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자기성장 경험의 인식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통찰력 성장형’으로 수업의 여러 활동을 통해 자신을통찰하고 타인을 깊이 이해하는 특성을 보였고, 유형 2는 ‘자긍심 성장형’으로 더 이상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적절히말하게 되었음을 인식하며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평가하고 존중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유형 3은 ‘주도성 성장형’으로 매 수업에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업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며 과정 중심의 평가에 만족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결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별성과 다양성 추구에 맞게 고교학점제 교과목에 상담심리 교과가 확보되어 학생들이 평소 학교에서배울 수 없는 교과목을 선택하고, 전문적인 커리어를 쌓은 전문가가 상담심리의 이해를 위한 경험적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면 학생들의 자기성장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growth experiences through counseling psychology subject classe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Q methodology. A Q sample of 33 questions was determined through literature,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1:1 in-depth interviews, and 30 high school sophomores who experienced counseling psychology subject classes were selected as P samples through objective sampling. After classifying the Q sample in the forced distribution method within the 9-point scale distribution, it was analyzed using the QUANL-PC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ception of self-growth experience was found to be three types. Type 1 is the ‘Insight growth type’,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gaining insight into oneself and understanding others deeply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 class. Type 2 is the ‘Self-esteem growth type’,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ng and respecting oneself as a person of value, such as not caring about others anymore and expressing one’s opinion appropriately. Type 3 is the ‘Initiative growth type’, showing active participation in each class and concentrating on the clas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satisfied with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Conclusions In line with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diversit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unseling psychology is secured as a high school credit system subject, so students can choose subjects that they cannot learn at school, and an empirical curriculum for experts with professional careers to understand counseling psychology. can satisfy students' desire for self-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