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roblem-based project instru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in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범석 백민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191~2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조별프로젝트 수업이 과학영재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의사소통, 문제해결 역량에 어떠한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대학 영재교육원 학생(초6-중2) 86명을 대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역량, 의사소통역량, 문제해격역량에 대한사전-사후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문제중심학습 조별프로젝트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과학영재들은 문제중심학습 조별 프로젝트를 통하여 프로그램 투입 전-후의 자기 주도적 학습역량, 의사소통 역량, 문제해결역량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자기 주도적 학습역량의 하위요인인 학습계획(t=-6.580, p<.001), 학습실행(t=-5.797, p<.001), 학습평가(t=-6.155, p<.001) 중에서도 학습계획 요인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의사소통역량에서는의사소통 관련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인 해석영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t=-7.892, p<.001). 마지막으로 문제해결역량에서는 수행평가 요인에서 통계적을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t=-7.750, p<.001).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수업모형은 과학영재들의 핵심역량을 향상 시길 수 있는 수업 모형임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과학영재들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plain how group project of problem-based learning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gifted students.
Methods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ject of problem-based learning was confirmed by using a pre-post response sample t-test on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for 86 students at A University's Gifted education center.
Results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he gifted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competencies. Among the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learning planning(t=-6.580, p<.001), learning execution(t=-5.797, p<.001), and learning evaluation(t=-6.155, p<.001), the gifted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the learning planning factor.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retive domain, which is the ability to give meaning to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ommunicator (t=-7.892, p<.001). Finally,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th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7.750, p<.001).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is that can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gifted students, a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