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Welfare Benefits for Caregive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발행기관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 저자명
- 소원근
- 간행물 정보
-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제2권 제1호, 14~2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국문 초록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인력을 활용해 노인을 돌보는 서비스 프로그램이다. 특히 요양보호사는 노인의 신체적·정신적·심리적 돌봄을 계획하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최종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돌봄을 필요로 하는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사회적 효의 가시화라는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낙상, 욕창, 응급처치 등에 있어 사고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노인 돌봄의 핵심인력 인 요양보호사의 장기근속과 전문성 강화를 통해 노인케어의 체계적인 관리와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원의 복리후생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H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첫째, 자금지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문화지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생활지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설지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건강지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마치지 못했다. 가설 H2는 채택되었다. 여섯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service programs that take care of the elderly using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caregivers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hat they plan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care of the elderly and provide systematic and final services based on their expertise. Tn Korea, due to the rapid aging population, the elderly population needing care is rapidly increasing. Despite the net function of visualizing social effects, accident rates are high in falls, bedsores and fust ai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prevent elderly care by strengthening the long-term service and professionalism of the nw·sing caregiver who is the core personnel of elderly care.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welfare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of elderly nursing homes. Hypothesis H1 is partially adopted. First, fund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cultur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life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facilit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fth, health suppor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Hypothesis H2 was adopted. Sixth,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intention to turnove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