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한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의 개념과 구성 요소 설정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for Communication in Korean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수은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30권 4호, 53~7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sociocultural competence’ is needed for explain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it investigates the concept of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the detailed components of sociocultural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is the ability that senses and interprets the context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 in communication and produces appropriate messages thereafter. Besides, we need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to manifest sociocultural competence. For this reason,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list and process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to take an approach from reviewing advanced researches and synthesizing opinions from seven Korean education experts including the researcher. As a result, this study explains that there are contexts of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onversation within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language is based on these components. The participants of conversation deliver the appropriate message in consideration of a particular conversation context based 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 의사소통에서의 사회문화적 능력
3.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의 구성 요소 설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은. (2019).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한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의 개념과 구성 요소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 30 (4), 53-75

MLA

김수은.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한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의 개념과 구성 요소 설정 연구." 한국어교육, 30.4(2019): 53-7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